카테고리 없음

엑셀에서 주식 매수평단가 계산 함수

중년용가리 2025. 3. 24. 10:04

 

주식 투자를 하는 사람들에게 매수평단가는 중요한 지표입니다.

 

매수평단가는 자신이 보유한 주식의 평균 매입 가격을 말하며, 이를 통해 현재 보유 주식의 손익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

 

엑셀을 이용하면 날짜별 매수평단가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 

이번 글에서는 엑셀에서 매수평단가를 계산하는 방법과 함수를 소개하겠습니다.

 

💡 매수평단가의 기본 개념

 

매수평단가란, 특정 주식의 총 매입 금액을 매입한 주식 수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.

 

즉, 

 

\[ \text{매수평단가} = \frac{\text{총 매입 금액}}{\text{매입한 주식 수량}} \]

 

입니다.

 

이는 투자자가 주식을 매수한 시점에 어떤 가격으로 매수했는지를 평균적으로 나타내는 값입니다.

 

💡 엑셀에서 사용하는 함수

 

엑셀에서 매수평단가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`SUMPRODUCT`와 `SUM` 함수를 주로 사용합니다.

 

• `SUMPRODUCT` 함수: 배열(예: 가격과 수량)의 곱을 계산한 후 총합을 반환합니다.

• `SUM` 함수: 지정된 셀 범위의 합계를 구합니다.

 

두 함수를 조합하여 매수평단가를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.

 

💡 날짜별 매수평단가 계산법

 

날짜별로 매수평단가를 계산하려면 거래일마다 매수한 주식 수량과 가격을 기록해야 합니다.

 

엑셀에서는 다음과 같은 형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:

 

1.날짜 열 (예: A열)

2.매수한 주식 수량 열 (예: B열)

3.주당 매입 가격 열 (예: C열)

 

매수평단가는 다음 수식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:

 

=(SUMPRODUCT(B2:B10, C2:C10) / SUM(B2:B10))

 

여기서 `B2:B10`은 매수한 주식 수량의 범위이며, `C2:C10`은 주당 매입 가격의 범위입니다.

 

이 수식은 지정된 날짜 범위 내에서의 매수평단가를 반환합니다.

 

💡 특정 날짜까지의 매수평단가 계산

 

특정 날짜까지의 매수평단가를 계산하려면 `IF` 조건문을 사용하여 특정 날짜 이전의 거래만 포함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.

 

=SUMPRODUCT((A2:A10<=E1)*(B2:B10), C2:C10) / SUMIF(A2:A10, "<="&E1, B2:B10)

 

여기서 `E1` 셀은 기준 날짜를 입력하는 곳입니다.

 

이 겹합된 수식을 통해 입력된 날짜까지의 매수평단가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.

 

💡 활용 사례와 주의점

 

실제 투자에서 이러한 계산을 활용한다면, 각 날짜별로 변동된 매입 가격과 수량을 엑셀에 정확히 입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 

그렇지 않으면 계산 결과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.

 

또한, 매수평단가를 기준으로 손익을 계산할 때는 주식의 거래 수수료 등 추가 비용을 고려해야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

 

마지막으로, 매수평단가는 주식 매수 전략 설정에도 중요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.

 

앞으로의 주식 매수 여부를 결정할 때 매수평단가를 참고하여 판단할 수 있습니다.

 

#엑셀 #주식투자 #매수평단가 #SUMPRODUCT #날짜별계산 #투자전략 #재무관리